심리학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부전공으로 심리학을 선택함으로써 그 갈증을 해소하려 했다. ‘심리학’이 아니라 정확하게는 ‘심리학자가 쓴 책’에 관심이 많은 거였다는 걸 깨닫기까지 오래 걸리지 않았지만 말이다. 어쨌거나 수업도 듣고 책도 많이 읽은 덕분에 용어나 연구자 이름에 대해서는 익숙한 편이었다. 인간은 합리적이지 않다를 전제로 하는 ‘행동경제학’의 효시가 된 연구를 했다는 다니엘 카네만, 아모스 트버스키 두 사람에 대해서도 익숙했다. 그들이 심리학자로서는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았고, 그들의 핵심이론은 ‘전망 이론’이라는 것인데, 그 이론의 핵심은… 아래 그림을 참고하자.
‘머니볼’, ‘빅 숏’의 작가 마이클 루이스가 그 두 사람의 이야기를 다룬 책을 곧 선보인다는 소식을 듣고, 출간일에 킨들에서 검색해봤다. 안타깝게도 킨들 가격은 전. 혀. 저렴하지 않았고, 이럴 거면 그냥 종이책으로 구해야겠다 싶어 주문했다. 다른 책을 읽는 몇 주간 책장에 꽂혀있던 이 책을 꺼내서 첫 장을 펼치던 순간, 다음 내용이 궁금해서 참을 수가 없는 갈증을 느꼈다.
책에 소개되는 카네만과 트버스키의 한마디 한마디는 통찰력으로 가득 차 있었다. 통째로 외우고 싶은 내용들이 여러 개라서 사진을 찍어놨다.
“인생에서 큰 결정은 사실 무작위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려면, 오히려 작은 결정이 더 많은 것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 선생님을 누굴 만났는지가 어떤 대학교 전공을 선택할지에 영향을 준다. 누구와 결혼하는지도 인생 그 시점에 주변에 누가 있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반면에 작은 결정은 아주 체계적으로 이뤄진다.”
지난 시간을 돌이켜보면 소름끼치게 정확한 이야기다. 무작위로 연결된 인생의 여러 줄기 중에서도 나를 나답게 만들고, 잘 대변해주는건 매일매일 하는 사소한 결정들이다. 예를 들면 정해진 시각에 일어나려 하고, 가급적이면 집에 일찍 들어오려는 습관 등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람은 ‘어떤 것’ 중에서 하나를 고르지 않고, 어떤 것에 관한 ‘설명’ 중에서 하나를 고른다.”
같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설명하냐에 따라 선택이 많이 달라진다. 축수선수 박지성은 ‘장점이 뚜렷하지 않은’이라고 묘사될 수도 있지만, ‘멀티플레이어’라고 묘사되기도 한다.
부족한 언어 능력 탓에 적합한 문장으로 옮길 수 없지만, 이외에도 기억하고 싶은 내용이 수두룩하다. 그러나 유용한 정보와 지적 자극을 주는 데에만 그치는 책이 절대 아니다. 두 사람의 서로에 대해 갖고 있는 믿음, 실망, 아쉬움, 고마움, 행복함 등이 책을 환하게 만들었다가도, 우울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종국에는. 파국으로 치닫는 관계의 마지막이 묘사된 대목에서, 나는 그야말로 심장이 털썩 주저 않는 느낌을 받았다. 책 제목이 어떤 의미인지를 깨닫게 되는 순간에도 가슴이 철렁했다.
쉽게 술술 읽혔던 초반부와 비교했을 때, 연구 내용이나 동료 교수와의 논박이 주를 이룬 중반부에서는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렇지만 이야기, 두 사람이 그렇게 경계하고, 트버스키가 특히나 혐오하던 바로 그것, 자체만으로도 이 책은 매우 매혹적이다. 정말 매우 매혹적이다. 심장이 쿵 떨어지는 마무리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