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극]트로이의 여인들

일요일마다 ‘중앙선데이’라는 주간지를 읽고 있다. 고백컨데 나는 아는 척하기 좋아하고, 으스대기 좋아하고, ‘있어빌리티’를 추구하는 사람이다. 그런 나에게 중앙선데이는 더할 나위 없이 소중하다. 누구를 만나더라도, 어디를 가더라도 슬쩍 이야기하기 좋은 이야기들이 가득해서 한 장 한 장 그냥 넘어갈 지면이 없다.

그런 중앙선데이에서 국립창극단의 ‘트로이의 여인들’의 관람권을 나눠준다는 기사를 접하고는 주저하지 않았다. 중앙선데이를 만난 이후로 인생이 얼마나 풍요로워졌는지를 구구절절 적어 내려 가며 꼭 관람권을 받았으면 좋겠다는 메일을 보냈다. 편집장님 이하 직원들의 노고에 깊은 감 사또 한 잊지 않고 적어서일까, 축하한다는 메일과 함께 관람권을 받게 되었다.

공연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을 딱 두 가지였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출가 옹켕센의 손길이 닿았다는 것과 국악계의 아이돌인 김준수가 출연한다는 것.(동방신기 김준수가 아니다) 물론 옹켕센과 김준수에 대해서도 중앙선데이를 읽고 알게 되었다. 창극을 듣거나 보는 건 처음이었고, 김준수는 ‘이별가’로만 접했었다.

드디어 공연이 시작되었다. 숨 돌릴 틈 없이 이어지는 업무를 처리하고 나서 인지 몇십 번 하품했는지 셀 수도 없었다. 게다가 ‘아가멤논’, ‘헥토르’ 등 그리스 신화의 인물을 창으로 부르는 모습에 익숙해지는 게 쉽지 않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몰입하게 되었다. 주요 인물의 성격이나 운명을 드러내는 악기가 다르고, 최고 미녀 ‘헬레네’로 여장한 김준수가 피아노 선율에 맞춰 가요를 부르는 듯 심경을 토로하다가도, 창을 하는 모습에 넋을 잃었다. 주인공인 왕비 ‘헤큐바’로 분한 김금미 씨가 작품 전체를 멱살 잡고 끌고 다니다 세트 맨 위에 올라 종반부를 진두지휘할 때는 머리가 주뼛주뼛 섰다.

흡사 종교의식을 보는 듯한 노래와 강렬한 연주, 멋진 연출이 잘 어우러진 작품이었다. 워낙 실험적인 작품이다 보니, 낯선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었다는 게 아쉬움으로 남는다. 창극에 대한 아무런 사전 지식과 선입견이 없는 사람일수록 더 받아들이기 쉽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공연이 끝나고 보니 금발의 벽안 외국인들이 여러 명 와있던데, 어쩌면 그들이 나보다 더 만족해하지 않았을까.

비로소 창극, 옹켕센, 김준수에 대해 좀 더 떳떳이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또 하나의 있어빌리티를 얻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